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산가족상담센터
- 밀양부부상담
- 부산심리상담
- 해운대부부상담
- 부산청소년심리상담
- 부산부부상담
- 부산심리치료
- 부부상담
- 가족상담
- 양산심리상담
- 김해심리상담
- 부산부부상담센터
- 해운대부부상담센터
- 해운대심리상담
- 부산아동상담센터
- 심리상담
- 부산청소년상담센터
- 심리치료
- 경남부부상담센터
- 명지심리상담
- 양산부부상담
- 부산성인심리상담
- 부산커플심리상담
- 부산심리상담센터
- 화명부부상담센터
- 명지부부상담센터
- 부산가족상담
- 밀양부부상담센터
- 명지부부상담
- 김해부부상담
- Today
- Total
박노해차상숙심리이야기
부산부부심리상담 , '건강한 부모가 건강한 자녀를 만든다' 본문
건강한 부모가 건강한 자녀를 만든다
글.박노해(마음)
무의식으로부터의 탈출을 시작하다
부부가 행복하면 자녀도 행복하다. 언젠가 어떤 부부가 상담실을 찾아 죽어도 이혼을 해야겠으니, 이혼 이후에 어떻게 하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지 질문을 해 온 적이 있다. 대답은 간단하다. 어쩔 수 없이 이혼할 수 밖에 없고 아이는 건강하게 성장하기를 바란다면, 부모는 이혼 이후에도 자기 이해를 위해 마음공부를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자기이해'가 부족한 부부는 갈등을 피해 가기 어렵다. 자기 이해가 깊은 부부는 갈등이 있더라도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다. '부부 이해'를 위한 첫걸음은 대화로 시작되지만 대화가 어려우면 싸움도 불사해야 한다.
한편 민수 엄마는 성격이 냉정하고 매사에 거부적이다. 남편과 갈등에서도 기가 꺾이는 법이 없다. 민수 엄마는 늘 목소리도 더 크고 싸움에서 밀리는 법이 없다. 결국 남편은 민수 엄마에게 지고 만다. 그녀는 남편에게 가해자라며 원망 섞인 말투로 목청껏 내질러 버리기도 한다. 또 그녀는 아이들에게도 냉정하다. 아이들이 엄마를 어려워할 뿐만 아니라 그녀 주변을 겉돌거나 더욱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불안한 나머지 분리가 어려운 것이다.
열쇠는 부모가 쥐고 있다
부모의 자녀 사랑은 검정의 시간이 꼭 필요하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극한 애정 표현도 때론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자녀에 대한 지극한 애정이 부모 자신의 결핍감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도 기다려 주지 못하고 해결해 주거나 충족시켜 버린다. 결구 자녀는 홀로서기는 물론 부모와 분리도 어렵다. 부모는 자식 사랑이라는 명분 아래 자녀에게 집착하고 의존한다.
자녀와 분리가 어려운 부모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불안이 심하고 안정감이 없는 부모, 의존적이고 집착하는 부모, 회피적이고 여린 부모, 지적하고 평가하기 좋아하는 부모, 완벽을 추구하는 부모 등 내적인 자아가 불안하고 자기 신뢰와 확신이 부족한 부모다. 자연히 부부 관계도 원만하지 못하고 정서적 단절과 결핍도 심하다. 이러한 부모의 결핍감은 자녀에게 집착하는 방식으로 표출되는 것이다.
자녀는 부모의 사랑과 보호를 충분히 받아야 한다. 그렇지만 유아나 아동이 그 시기에 스스로 경험하고 달성해야 하는 발달과업을 부모가 대신해 주거나 자녀의 좌절을 기다려 주지 못하면 결국 자녀는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아이가 되고 만다.
자녀의 분리는 새로운 시작이다
자녀의 건강한 애착과 분리는 부모의 정신건강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부모는 자신의 정신건강 수준을 탐색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자녀의 분리는 새로운 시작이다. 돌 무렵 유아는 잡고 서면서 걷기를 시작한다. 이것이 부모와 직접적인 분리의 시작이다. 이때부터 아이는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이 왕성해진다. 작은 씨앗이라도 입에 넣어보고 느끼며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잡아 본다. 이것이 세상에 대한 탐구의 시작이다. 이러한 호기심을 지나치게 규제하거나 통제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허용해주게 되면 아이는 스스로 탐구의 과정을 통하여 자발성과 자율성을 완성해 가게 된다. 이러한 자발성과 자율성은 이후에 자녀의 학습 동기로 발전하게 된다.
자녀는 부모와는 다른 자신만의 인생이 있다. 자녀의 인생을 존중하기 위해서 부모는 자신의 인생을 존중해야 한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에 대한 사랑이 지나쳐 요구하고 지적하지만 그런 태도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자녀를 떠나보내자.
자녀를 떠나보내고, 이제 진짜 마음 여행을 통해 스스로를 만나자.
박노해차상숙부부심리상담센터
051-332-5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