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김해부부상담
- 밀양부부상담
- 양산심리상담
- 부산커플심리상담
- 부산심리치료
- 명지부부상담
- 부산심리상담
- 심리상담
- 부산부부상담센터
- 부산가족상담센터
- 심리치료
- 부산성인심리상담
- 김해심리상담
- 해운대부부상담
- 명지부부상담센터
- 양산부부상담
- 해운대심리상담
- 부산심리상담센터
- 해운대부부상담센터
- 화명부부상담센터
- 부산가족상담
- 부부상담
- 부산아동상담센터
- 부산청소년상담센터
- 부산부부상담
- 부산청소년심리상담
- 경남부부상담센터
- 가족상담
- 명지심리상담
- 밀양부부상담센터
- Today
- Total
박노해차상숙심리이야기
#심리상담,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들' 본문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들
글.박노해(마음)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성실한 사람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자신의 책임을 다하는 사람의 모습은 긍정적인 캐릭터를 갖게 됩니다. 그러나 그 정도면 충분하다고 느껴지는 경우도에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끼고 더욱 경우도 있지만 지나친 완벽성의 추구는 늘 부족한 인생이 되어버린다.
아동상담실을 찾는 부모님 중에 “저희는 아이에게 별 영향을 주지 않고 부모도 정적인 관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왜 이런 일이 생기는지 알 수 없다며” 하소연하는 부모도 있다. 모든 부모가 완벽을 추구하지는 않지만 자신의 자녀가 태어나고 성장해가면서 자신도 모르게 내가 잘못하고 부족했던 모습을 발견하고 소스라치는 경우가 가끔있다. 이러한 자녀를 위한 자극이라고 하지만 사실 부모 자신의 열등감으로 인해 자녀의 부족한 모습이 더욱 예민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부모가 완벽함을 추구하지 않더라도 위의 예와 같이 자녀의 부족한 모습을 발견하게 되면 부모가 지나치게 완벽함을 추구하거나, 불안이나 삶에 대해 긴장이 높은 경우는 자녀의 실수를 한 치도 용납하지 못한다. 사회가 현대화되면서 삶의 가치를 다양하게 인식하고 부모의 가치에 따라 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마다 차이가 있지만 부모의 사회적 높은 위치나, 도덕수준이 자녀를 양육하는 잣대가 되는 경우가 있다.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은 불안수준이 높은 사람이다. 불안이 높은 사람은 현재의 불확실한 상황을 견디기 힘들어하기 때문에 보다 완벽한, 정확한 결과를 기대한다. 결국 자녀가 부모의 위치와 같은 혹은 부모 보다 높은 사회적 위치를 갖도록 기대하거나 요구하는 것은 부모가 자신이 경험한 삶에 대한 불안감(경제적 빈곤, 삶의 실패 등)을 자녀에게 대물림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자녀의 사회적 성공은 이끌어낼지라도 심리적 불안감은 가중시키게 되는데 결국 부모가 지나치게 믿었던 완벽함에 대한 오류가 자녀의 인생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사회적 성공이나 경제적 부를 축적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자는 것이 아니라, 부모 자신의 가치기준이 무엇이고 그러한 기준이 나에게 왜 그렇게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게 되었는가를 이해해야 한다.
완벽하기를 요구받는 자녀는 불만과 불평하는 마음이 있지만 부모의 강한 권위에 눌리게 되고 결국 부모의 지적과 평가에 민감하다보니, 그 역시 불안과 긴장이 높고 결국 부모의 기대 수준에 부응하기 위해 강박적으로 완벽한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게된다. 이러한 태도가 실수를 줄일 수 있지만 많은 스트레스 요인이 되어 심경증이나 우울증, 정신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인간은 존재 자체가 불완전한 존재라고 철학자들은 얘기하는데 변증법적 논리는 불완전한 자체가 완전한 것이라고 한다. 삶을 통해 삶을 배워가는 우리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부모교육이나 개인상담을 하다보면 그렇게들 상처받고 피멍이 들어 아파하는 처절한 모습이 너무나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 아픈 상처는 시간이 지나면 좋아지겠지만 아픔을 덥지 말고 아픔을 이해하고 깨닫는 기회로 삼았으면 좋겠다.
박노해차상숙부부심리상담센터
051-332-5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