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노해차상숙심리이야기

부산아동상담센터 , ' 아이가 기저귀를 떼지 못해요. ' 본문

카테고리 없음

부산아동상담센터 , ' 아이가 기저귀를 떼지 못해요. '

p&cmaum 2025. 4. 2. 18:29

Q. 아이가 기저귀를 떼지 못해요.

 

34개월 남아를 두고 있습니다만 아직 기저귀를 못 떼고 있습니다.

말은 두 돌 때 텃구요. 발육이 좋아 5~6세로 볼 정도로 키가 큰 편인데 가정놀이방 시설을 다니고 있는데 4세반에서 혼자기저귀를 차고 있습니다. 36개월 안에 떼면 된다고 늘 들어와서 성급하지 않으려고 하지만 좀 심각한 것이 아닐까 걱정됩니다. 두 돌 즈음부터 배변훈련관련 책도 많이 보여주고 변기를 장난감삼아 놀게도 해보곤 했지만 고추에 쉬통을 대면 굉장히 거부감을 가져서 자제해오다가 30개월 즈음부터 집에서 편하게 싸면서 떼 보려고 기저귀를 벗겨놓곤 했습니다. 그런데 아이는 벗겨놓음 하루 종일 참고 있습니다. 놀이도 해보고 아빠가 쉬야 통에 쉬 누는 것도 보여주고 별짓을 다해봤지만 이 아이는 기저귀가 아님 아예 배출을 못합니다. 이제는 지가 응가통에 앉아서 응가할거야라고 흉내도 내곤 있지만 배출은 무조건 기저귀에만 하려합니다. 웬만하면 어린이집에서도 배변훈련으로 기저귀 떼는 아이들이 많은데 우리 애는 예민한 아이라 기다리자고 하십니다.

아이의 성향은 활발하면서도 겁이 많은 편이고 예민합니다. 남아치고는 과격하게 놀지 않는 편이고 집에서도 자전거 타기, 책보거나 학습하는 걸 좋아합니다. 소리에 민감해 돌 지나서는 청소기소리가 무서워 자지러지곤 했습니다. 아이가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것에 굉장히 두려워하곤 해서 어린이집에서도 특별히 많이 접촉시켜주고 뭐든지 서서히 적응시켜주려고 하고 저 또한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엔 애가 불안심리가 많은게 아닐까 걱정됩니다. 그림 그릴 때도 무조건 검정색으로 색칠합니다. 신혼 초부터 부부싸움이 많았는데 그 탓인가 싶기도 하고 제가 혼낼 때는 좀 엄격한편이라 그게 잘못된 것인가 싶기도 하고...

단순히 느긋이 기다리면 되는 것인가요??

아님 심리 상담이 필요할까요??

 

A. 답변

 

안녕하세요.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 비해 조금 늦다는 생각 때문에 불안한 마음이 크시네요.

34개월이란 것을 감안할 때 아이가 꼭 기저귀에만 볼일을 보려고 한다는 것이 다른 또래들과 비교 했을 때 다소 늦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어머님이 걱정하신 것처럼 아이가 소리에 예민하고 낯선 상황에 대해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미루어 짐작해 볼 때 두 분의 부부싸움과 어머님의 불안하면서 감정적인 대응일 때의 강한 모습들이 아이에게는 매우 불안하게 작용하였던 것 같습니다.

아이가 불안하다고 느끼면 매달리거나 또는 집작하는 행동들이나 특성들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아이 입장에서 보면 나름 견뎌보려고 하는 행동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우리 어른들도 집이 아닌 곳이나 낯선 곳에서 큰 볼일을 보려고 하면 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는 어른들도 불편하고 불안하면 대소변이 쉽게 나오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그건 아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불안하고 긴장되고 부담스러운 상황 속에서 볼일을 보는 것은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놀다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기저귀에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아이가 더 편안하다고 느낄 수도 있구요.

지금 현재로서 마음이 불안하고 조급하시겠지만 너무 불안해하시거나 예민하게 반응하시면 아이는 더 불안하고 긴장되어 악순환 될 수 있으므로 무관심한 척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그러면서 한 번씩 대소변관련 동화나 dvd를 통해 자연스럽게 노출시켜주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외부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많이 활동하면 잘 먹게 되고 그렇게 되면 배설은 할 수밖에 없습니다. 나오려고 하는 타이밍을 포착해서 기저귀가 아닌 변기통에 한번쯤 볼일을 보게 되면 나름 성공경험이 되고 부모님들이 함께 격려하고 칭찬해주시면 아이의 마음에도 변화가 생기고 행동도 달라질 것입니다.

만약 아이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거나 부부갈등이 지속적이다고 생각되신다면 아이의 정확한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아이와 함께 부모님이 한번쯤 상담센터를 방문하셔서 정확한 원인을 찾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아이의 자율성과 자기 효능감을 떨어트리는 경험이 되어 아이의 자신감을 많이 잃게 할 수 있고 이후 성격에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박노해차상숙부부심리상담센터

051-332-5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