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노해차상숙심리이야기

부산아동상담센터 , '사춘기아이의 반항과 공격성 왜 발생하나?' 본문

카테고리 없음

부산아동상담센터 , '사춘기아이의 반항과 공격성 왜 발생하나?'

p&cmaum 2024. 11. 11. 18:18

사춘기아이의 반항과 공격성 왜 발생하나?

글.박노해(마음)

어느날 갑자기 자녀가 가출을 하거나, 그동안 아무일 없다가 사고를치게되면 부모는 당황하게 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실에 연락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부모는 초등학교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가 중학교 들어오면서 친구들과 어울리더니, 부쩍 반항도 심하고 부모에게 욕도하고 더 심한 경우는 폭행도 일삼는 경우가 있다. 청소년들의 이러한 공격성의 원인을 탐색해보면 자녀가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부모에게 반항적으로 변했다는 것은 잘못된 이해이다. 청소년기 이전까지 자녀는 부모로부터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 혹은 질책과 지적을 경험한 결과이며, 청소년기 공격성의 결과는 자기표현과 분노감정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의 반항과 공격성의 유형으로 폭력, 가출, 금품갈취, 약물남용 등의 수 없는 비행의 결과는 자신의 답답한 마음을 표현한 하나의 의사표현에 불과하다. 그들은 자신이 이해받거나, 인정, 사랑받을때, 자신이 쓸모있다고 여기고 존재감을 가질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할 때 자신의 억울한 마음을 공격의 일환으로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부모는 자녀가 예의바르고 바람직하게 자라 휼륭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지만 자녀의 욕구에 관심을 갖기보다 예의바른 행동, 성적, 책임 등의 결과에 대한 잘잘못을 평가, 지적하고 그 기준으로 자녀를 대한다. 자녀는 부모가 바라는 것을 충족시켜주고자 한다. 그러나 지나친 부모의 기대는 자녀에게 부담과 불안을 가져다 주고 그 기대에 실망시킬까 전전긍긍하다. 좌절한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의 욕구에 관심을 가지며, 또한 자신이 그렇게 자녀에게 기대한 원인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신의 욕구를 자녀에게 투사하여 기대 이상의 기대를 가짐으로써 문제가 시작되는 것이다.

 

박노해차상숙부부심리상담센터

051)332-5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