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노해차상숙심리이야기

부산부부심리상담 , '집착하는 아내 때문에 숨이 막혀요.' 본문

카테고리 없음

부산부부심리상담 , '집착하는 아내 때문에 숨이 막혀요.'

p&cmaum 2024. 4. 3. 14:58

 

집착하는 아내 때문에 숨이 막혀요.

글. 박노해(마음)

사람은 뭔가 집착하는 경향이 있죠.

집착한다는 것은 불안과 생존을 뜻하는가 봅니다.

본질적으로 독립을 실패한 것에 대한 불안이라고 해야 맞을 겁니다.

우리는 탄생과 함께 존재로서 독립된 개체의 삶을 영위해 가야 합니다.

그 가운데 누구를 믿고 누구와 함께 살아갈 것인가요?

많은 사람들은 독립에 실패하고 의존할 대상을 집착합니다.

의존이 좋을까요?

의지하면 불안해집니다.

의지하면 왜 불안해질까요?

그것은 우리 자신의 삶의 주권을 내어주었기 때문입니다.

배우자와 결혼하면 우리는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사이라고 생각합니다.

맞는 말이다. 부부는 서로 의지하며 이해하고 위로하며 사랑하는 그런 사이가 이상적이다. 하지만 지나친 의지나 의존은 서로에게 구속과 부담, 심리적인 압박감을 줍니다.

이러한 부담은 스트레스와 갈등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갈등은 더 이상 서로에 대한 믿음이나 여유를 찾기 어렵지요. 결국 서로에 대한 실망은 갈등이 되고 등은 상처가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성인이고 사랑하는 사이라고 하지만 왜 그렇게 집착하게 되는 것일까요?

그것은 자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자신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우리는 자신을 믿고 확신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갈 자신이 있는지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믿음이란? 유아기 애착에서 시작되는 것입니다.

엄마의 안정된 아이에 대한 양육은 아이가 느끼는 안정감으로 형성되는 발달단계에 하나입니다.

유아기에 형성된 애착관계는 엄마에 의해서 100%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어머니도 사람이니, 어떻게 완벽하게 아이를 양육할 수 있겠어요. 하지만 아이는 스스로 자신이 의식주를 해결할 수 없는 매우 의존적인 존재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엄마를 느끼는 감정과 생각은 본능적이고 적응적입니다.

아이는 엄마가 곧 하나님이지요.

엄마가 먹이고 씻기고 보호해주기 때문입니다.

엄마는 완벽한 하나님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을까요?

불가능한 일 입니다.

엄마는 신이 아니고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엄마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엄마는 완벽해야할 필요가 없다. 부족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엄마가 완벽해야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부족한 마음을 이해하고 알아가는 시간이 필요할 뿐입니다.

아이에게는 완벽한 엄마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균형감이 있고 지혜로운 엄마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아이에게 애착형성을 실패했다면 아이는 이후 배우자와의 정서적 관계 또한 불안한 정서적 패턴을 띄지요.

결혼초기엔 배우자에 말에 순응하고 의존하며 배우자의 일거수일투족을 함께 하려 합니다.

집착적인 의존을 하는 것이다. 그러다 배우자와 삶에서 힘든 시련이나 배우자의 무시, 비난을 격을 때 이들은 배우자에 대한 섭섭한 마음을 억압했다가 한 번에 폭발적인 갈등을 유발합니다.

특히 배우자가 외도라도 했을 경우는 의부증이나 의처증이 되고 말지요.

의부증은 배우자에게 보호받고자하는 아이 같은 여자의 심정입니다.

반대로 의처증은 배우자에게 버림받지 않기 위한 불안한 남자의 아이 같은 마음입니다.

이들은 정서적으로 불안하고 독립적이지 못하죠.

많은 사람은 외적으로 독립적이고 도전적입니다.

또한 사회 생활하는데 어려움을 찾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정서적 대상, 배우자와의 관계는 다르다. 이들은 배우자와 함께 하게 되면 유아기 혹은 아동기적인 특징을 보이게 되고 서로를 집착하며 불안에 떨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자유는 무엇일까요?

자유는 누군가로 얻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자유는 외적으로 성공한다고 얻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자유는 구속받은 사람에게 벗어난다고 얻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진정한 자유는 내 마음이 담담해지는 그 순간이 유일하죠.

여러분은 누군가를 집착하며 불안에 떨며 살고 싶지는 않겠지요.

그렇다면 자신의 마음을 살피기 바랍니다.

살핀다고 불안한 마음이 사라지지 않는다고요.

맞습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말기 바랍니다.

그리고 논리적인 분석보다 느끼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불안을!

그렇게 하면 어느 날 집착에서 자유로워지게 될 것입니다.

 

 

 

박노해차상숙부부심리상담센터

051)332-5895